🔒 문제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5
문제 설명
rows x columns 크기인 행렬이 있습니다. 행렬에는 1부터 rows x columns까지의 숫자가 한 줄씩 순서대로 적혀있습니다. 이 행렬에서 직사각형 모양의 범위를 여러 번 선택해, 테두리 부분에 있는 숫자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합니다. 각 회전은 (x1, y1, x2, y2)인 정수 4개로 표현하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x1 행 y1 열부터 x2 행 y2 열까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직사각형에서 테두리에 있는 숫자들을 한 칸씩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
다음은 6 x 6 크기 행렬의 예시입니다.
이 행렬에 (2, 2, 5, 4) 회전을 적용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2행 2열부터 5행 4열까지 영역의 테두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 이때, 중앙의 15와 21이 있는 영역은 회전하지 않는 것을 주의하세요.
행렬의 세로 길이(행 개수) rows, 가로 길이(열 개수) columns, 그리고 회전들의 목록 queries가 주어질 때, 각 회전들을 배열에 적용한 뒤, 그 회전에 의해 위치가 바뀐 숫자들 중 가장 작은 숫자들을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rows는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columns는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처음에 행렬에는 가로 방향으로 숫자가 1부터 하나씩 증가하면서 적혀있습니다.
- 즉, 아무 회전도 하지 않았을 때, i 행 j 열에 있는 숫자는 ((i-1) x columns + j)입니다.
- queries의 행의 개수(회전의 개수)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queries의 각 행은 4개의 정수 [x1, y1, x2, y2]입니다.
- x1 행 y1 열부터 x2 행 y2 열까지 영역의 테두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는 뜻입니다.
- 1 ≤ x1 < x2 ≤ rows, 1 ≤ y1 < y2 ≤ columns입니다.
- 모든 회전은 순서대로 이루어집니다.
- 예를 들어, 두 번째 회전에 대한 답은 첫 번째 회전을 실행한 다음, 그 상태에서 두 번째 회전을 실행했을 때 이동한 숫자 중 최솟값을 구하면 됩니다.
입출력 예시
rows | columns | queries | result |
6 | 6 | [[2,2,5,4],[3,3,6,6],[5,1,6,3]] | [8, 10, 25] |
3 | 3 | [[1,1,2,2],[1,2,2,3],[2,1,3,2],[2,2,3,3]] | [1, 1, 5, 3] |
100 | 97 | [[1,1,100,97]] | [1]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회전을 수행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회전을 수행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 이 예시에서는 행렬의 테두리에 위치한 모든 칸들이 움직입니다. 따라서, 행렬의 테두리에 있는 수 중 가장 작은 숫자인 1이 바로 답이 됩니다.
🔓 풀이
🔑 문제 해결 / 코드
def solution(rows, columns, queries):
answer = []
# 1. 행렬 만들기
procession = []
for i in range(rows):
procession.append(list(range((columns * i) + 1, (columns * i) + columns + 1)))
print(procession)
# queries [[x1, y1, x2, y2]]
# 0 1 2 3
# (x1, y1) ~ (x1, y2)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
# (x1, y2) ~ (x2, y2) 아래쪽으로 한칸 이동
# (x2, y2) ~ (x2, y1) 왼쪽으로 한칸 이동
# (x2, y1) ~ (x1, y1) 위쪽으로 한칸 이동
# 2. 위치 이동
for query in queries:
x1 = query[0]-1
y1 = query[1]-1
x2 = query[2]-1
y2 = query[3]-1
# 타겟 대상 저장
target_list = []
target = procession[x1][y1]
print(f"target : {target}")
# 오른쪽 이동
for i in range(1, (y2 - y1) + 1):
procession[x1][y1 + i], target = target, procession[x1][y1 + i]
target_list.append(target)
# 아래로 이동
for i in range(1, (x2 - x1) + 1):
procession[x1 + i][y2], target = target, procession[x1 + i][y2]
target_list.append(target)
# 왼쪽 이동
for i in range(1, (y2 - y1) + 1):
procession[x2][y2 - i], target = target, procession[x2][y2 - i]
target_list.append(target)
# 아래로 이동
for i in range(1, (x2 - x1) + 1):
procession[x2 - i][y1], target = target, procession[x2 - i][y1]
target_list.append(target)
# 3. 타겟 대상중 가장 작은 타겟 answer 변수에 추가
answer.append(min(target_list))
print(f"procession : {procession}")
return answer
print(solution(6, 6, [[2,2,5,4],[3,3,6,6],[5,1,6,3]]))
🍀 Story
행렬 문제는 언제 만나도 당황스럽다.
리스트로 행과 열을 표현하는것에 익숙하지 않고 헷갈리는 경우도 많아 시간을 유독 많이 잡아먹는다.
실제 테스트가 주어지면 이렇게 시간을 투자할 수 없겠지만(검색 없이 순수 3시간정도,,) 그래도 차근차근 익숙해지기 위해 헷갈리지 않도록 주석을 표기하며 문제를 풀어봤다.
가장 먼저한 작업은 행렬 만들기다.
처음엔 이중 반복문으로 행렬을 만들었다가 한 번만 사용해서 가능하다 판단해 지금의 코드로 행렬을 만들었다.
정답 제출 후 다른 답안을 보니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많이 사용했는데, 나는 익숙하지 않고 가독성도 떨어진다고 생각해 자주 사용하진 않는다.
(사용한다면 확실히 코드가 깔끔해진 것 같은 느낌은 든다, 가독성과 별개)
다음은 이동하기 로직을 구성했다.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하기 위한 박스의 좌표를 구해야 하는데 좌표의 가장 처음은 1, 1로 표기하지만 내가 만든 행렬의 인덱스는 0, 0으로 접근하기에 모든 좌표에 -1 을해서 x1, y1, x2, y2의 좌표를 저장했다.
다음으로는 사각형의 윗변 부분의 오른쪽으로 한칸씩 이동하는 로직부터, 아래로, 왼쪽으로, 위로 이동하는 로직을 각각 반복문을 통해 구현했다.
맨 처음 이동하는 좌표의 시작점을 타켓에 넣어놓고 시작한다.
각 반복문의 길이는 x2와 x1, y2와 y1의 차이만큼 반복하며 바꿀 대상과 타겟을 스왑하며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이동하는 것만 생각해서 스왑 방식으로 구현을 했는데 결과적으로 타겟 대상을 리스트에 추가하고 가장 작은 대상을 리턴하는게 문제의 핵심이어서 list에 바꿀 대상의 숫자를 추가하고 list의 -2 인덱스로 대상을 바꿔주는 방식을 사용하는 게 좀 더 흐름이 좋은 것 같다.
마지막은 타겟 리스트에서 가장 작은 수를 정답에 넣어주면 끝
이제 각각의 반복문을 돌면서 queries에 있는 모든 쿼리를 실행해 가장 작은 대상을 정답에 담아 return 한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두 큐 합 같게 만들기_Python level2(스택/큐) (0) | 2022.08.21 |
---|---|
[프로그래머스] 올바른 괄호_Python level2(스택/큐) (0) | 2022.08.18 |
[프로그래머스] 프린터_Python level2(스택/큐) (0) | 2022.08.13 |
[프로그래머스] 다리를 지나는 트럭_Python level2(스택/큐) (0) | 2022.08.13 |
[프로그래머스] 기능개발_Python level2(스택/큐) (0) | 2022.08.11 |